본문 바로가기
정보창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혜택

by alife 2023. 2. 22.

2023년 6월부터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해 기존 금리와 더불어 정부지원금을 더해주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됩니다. 지난해 출시됐던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했을 때 가입 범위와 혜택이 넓은 만큼 꼼꼼히 체크하시고 정부에서 주는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. 

 

썸네일-청년들-달리는-모습

1. 청년도약 계좌 지원대상

신청기간 2023년 6월~2025 12월 31일
가입 대상 및 조건
만 19세~34세 청년층 (병역이행 기간 제외)
중위소득 180% 이하
개인 소득 6천만 원 이하 

 

청년도약계좌는 근로,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세~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600만 원 이하,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이 가입대상입니다. 

 

 

기준 중위 소득표

 중위소득이란 우리나라 전체가구를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겨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 수준을 의미합니다.

 

가구원수 중위소득 180%
1인 약 374만 원
2인 약 622만 원
3인 약 798만 원
4인 약 972만 원
5인 약 1,139만 원
6인 약 1,301만 원

 

 

2.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

납입금액:월최대 70만 원 납입
정부지원금:납입액의 3~6%(가구소득에 따름)
은행이자:시중은행 적금 및 가산금리
세금혜택:비과세
만기기간:5년 

 

①납입금액
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5000만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예정인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이 가능합니다. (연 최대 840만 원)
 
②정부지원금
정부지원금은 개인 및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결정될 방침이며 소득이 높은 경우 3% 소득이 낮은 경우 최대 6%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③만기
청년도약계좌의 만기기간은 5년이며 부득이한 사정으로 중도해지할 경우에는 감면세액이 추징됩니다.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유지할 수 있는 금액을 잘 산정해서 신중히 가입해야만 합니다. 

 

※가입자의 사망, 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장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 질병,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 사유에 해당하면 중도해지 시에도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.

 

 

3. 청년도약계좌·청년희망적금 비교

아래표를 참고하여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.

 

  청년도약계좌  청년희망적금
가입 대상 만 19세~34세 청년 (병역이행기간 제외)
소득 요건 6,000만원,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% 3,600만 원
투자 형태 적금형,투자형 중 선택 가능 적금
납입 금액 월 최대 70만원 월 최대 50만 원
정부 지원금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3~6% 차등 지급 1년차(2%),2년차(4%)
만기 5년 2년
과세 이자소득 비과세 

ⓛ소득요건 완화
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개인 소득 기준이 3600만 원에서 6,000만 원으로 대폭 확대된 것입니다. 또한 가구 소득은 높은데 개인 소득이 낮아 지원금을 수령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소득 요건에 가구소득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. 
 
②정부지원금 확대 
청년도약계좌는 월 40만 원부터 70만 원까지 납입가능액의 폭이 넓어졌으며 정부의 지원금도 소득 수준에 따라 3~6% 까지 확대되었습니다.
 
③투자형태 
투자형태 역시 기존 적금만 가능했던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청년도약계좌는 적금과 투자형 중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납입한 원금으로 주식이 가능합니다. 
 

 
4.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여부?

현재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이후 신규 가입을 받지 않고 있으며 2024년 만기 사업종료 됩니다. 두 상품은 정부 재정으로 지원되는 유사한 상품이기 때문에 이중수혜를 방지하기 위해 중복가입은 불가능합니다.
 
다만 현재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된 청년은 주로 저소득층이기 때문에 이들이 배제될 경우 청년 자산형성이라는 정책의 취지가 훼손될 수 있으므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로 갈아탈 수 있는 방안을 논의 중이라고 합니다. 

 

※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 내일채움공제 등 각종 지방자치단체 상품 등 복지상품과 고용지원 상품과는 동시 가입이 허용됩니다.


지금까지 만 19세~34세 청년을 대상으로 5년 만기 최대 5,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 계좌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
 
시중 금리에 정부지원금까지 더해지는 좋은 금융 상품이지만 만기일이 5년이라는 점은 조금 부담으로 다가오는 조건입니다.
 
혜택이 좋다고 무작정 가입하기보다는 자신이 유지할 수 있는지 꼼꼼히 따져보시고 신중하게 가입하시기를 바랍니다. 

 

함께 읽으면 좋은 글